턱관절장애란?
턱관절은 아래턱뼈, 머리뼈, 그 사이의 관절원판(디스크),인대, 주위 근육등의 근골격계로 이루어졌으며 귀 앞쪽에 위치한 관절입니다. 턱관절장애란 턱관절과 관련되어 생기는 장애를 말하며 두통을 포함한 머리-목 부위의 동통을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측두하악장애 또는 두개하악장애라고도 합니다.

턱관절장애의 증상
턱관절장애는 크게 턱관절 자체의 장애와 두경부 근육장애(긴장성 두통포함)로 나눌 수 있으며, 일반적인 증상들은 턱관절의 동통, 이통, 두통, 안면통을 호소하며 아래턱의 운동제한, 비대칭적인 아래턱의 운동형태, 관절잡음(관절음, 거대관절음, 마찰음등), 이갈이, 이 악물기 등이 있습니다. 통증 및 관절잡음 그리고 개구제한을 턱관절장애의 3대 증상이라고 합니다.
턱관절장애의 기여요인
턱관절장애를 야기하는 기여요인들로는 자세 불균형(머리, 목, 어깨 등), 교합(이맞물림) 부조화, 정신적 스트레스, 잘못된 수복물, 이갈이와 같은 구강악습관, 비동통성 저작근비대, 비정상적인 교모, 유전적 요인, 외상, 영양 호르몬 및 대사장애 등 아주 다양합니다. 턱관절장애 및 구강안면동통은 매우 다양하고 대부분의 경우에 명확한 한가지 원인이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고,임상적으로 관련된 여러 가지 기여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련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턱관절장애는 어디에서 치료 받아야 하나?
턱관절장애는 교합(이 맞물림)을 포함해 구강건강상태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진 치과의사에게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턱관절장애의 진단 및 치료
턱관절장애의 진단에는 측두하악장애 분석검사(간이평가,포괄적 병력조사, 포괄적 신체검사), 방사선학적 검사가 주로 진행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전산화 단층방사선 검사(CT), 자기공명영상(MRI), 핵의학 검사(bone scan) 등도 시행할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의 치료방법에는 물리치료, 약물요법, 교합 안정장치 치료, 보톡스 주사치료, 턱관절세정술을 비롯한 외과적 치료 등이 있습니다.
